본문 바로가기

View All391

하나 : 물질전달 개념정리 (2) - 대류 # 저번 시간에 뭐 했지? 안녕하세요? 이번 주도 다행히 포스팅을 하게 되었네요:) 오늘 대류에 대해 본격적으로 공부를 시작하기 전에 잠깐 확산에 대해 정리하고 갈게요. 저번 시간에 Fick’s 1st law : 질량플럭스가 질량분율의 기울기에 비례 질량플럭스 : 계의 속도( )에 대한 상대적인 속도 라는 것을 배웠죠? 다들 기억하신다고 믿고!!(아니라면 이전 포스팅을 참고!) 넘어가겠습니다. # 대류(Convection) 대류는 크게 두 가지로 나눌 수 있는데요. 온도 차에 의해 차가운 물질이 가라앉고, 뜨거운 물질이 상승하는 자연대류(Natural Convection)와 압력 차를 주어 고압에서 저압의 방향으로 물질이 이동하는 강제대류(Forced Convection)가 있습니다. 물질전달에서는 이 .. 2016. 1. 16.
재료이야기 #08. Self-healing Material (2) Self-healing Material 두 번째 이야기 안녕하세요~ 민시키의 재료이야기 Self-healing Material 두 번째 시간입니다! 이번에는 몇몇 논문과 동영상을 활용하여 다양한 Self-healing Material에 대해 아주 얕게 쉽게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Self-healing concrete and asphalt : Eric Schlangen at TEDxDelft 첫 번째로 볼 영상은 TEDxDelft에서 Eric Schlangen 씨가 발표한 Self-healing concrete에 대한 영상입니다! 말을 많이 하긴 하는데, 한글 자막도 있으니 어렵지 않게 보실 수 있을 거에요! 보고 옵시다~ 간단히 요약해보자면, 일반 콘크리트는 골재와 골재들을 연결시켜주는 역청으로 이루어.. 2016. 1. 11.
하나 : 물질전달 개념정리 (1) - 확산 # 공부 시작! 안녕하세요! 이제 본격적으로 저와 함께 물질전달 공부를 시작해볼까요? 우선 물질전달의 기본 유형 문제들을 살펴보기 전에 물질전달에 관한 개념을 살펴보려고 합니다. 공부를 할 때 가장 중요한 것은 개념인 거 아시죠? 이 부분을 쉽다고 훌쩍 넘겼다가 문제가 안 풀리면 빠가멍청이라고 자책하지말고 반드시 숙지하고 가세요! 혹시 나중에 문제가 풀리지 않으면 이 포스팅을 통해 어떤 부분의 개념이 머리 속에 없는지를 파악해보는 것도 좋습니다. # 물질전달이란? 칠판에 써놓은 것처럼 물질전달은 매우 다양한 형태로 일어나는데요. 그 중에서 우리는 일단 학부생이기 때문에 “물질의 농도차에 의한 확산과 온도나 압력 기울기에 따라 발생하는 대류에 의해서 물질이 이동하는 것이 물질전달이다.”라고 알아두시면 되겠.. 2016. 1. 9.
2-1. Bacterial transcription (0. Outline) 들어가기 전에 첫 포스팅에서 말했다 시피, 이 포스팅은 전격 반말 포스팅으로 진행됩니다! 생물학적 지식은 아직도 밝혀지고 있는 만큼, 제가 잘못 쓴 용어와 내용이 많을 수 있습니다. 언제든 지적은 겸허히 받아들이겠습니다! Transcription, 전사 우리 몸에서 가장 중요한 것을 하나만 꼽아보라고 하면, 단백질을 꼽을 수 있을거야. 그 단백질이 어떻게 만들어지는가, 에 대한 얘기가 바로 Central Dogma였고. DNA에서, RNA가 된 다음, protein 까지 만들어지는 전체적인 과정이 바로 우리 몸에서 중요한 역할을 차지하고 있는 것은, 아무리 강조해도 모자라지 않아. 그 중에, DNA에서 RNA를 만드는 transcription 과정 부터 차근차근 알아볼게. 일단은 전체적인 메카니즘을 좀 .. 2016. 1. 6.
물질전달 10선 시작! # 반갑습니다! 안녕하세요? 정말 오랜만에 STEMentor에 다시 연재를 하게 된 화학생물공학부 10학번 김승현이라고 합니다. 열전달의 연결고리를 연재하다가 개인적인 사정으로 좀 오래 쉬었죠;; 그래도 이제 다시 새로운 주제를 가지고 연재를 시작하게 되어 정말 기쁘고 설레는 군요.:) 제 글을 읽는 분들께 반드시 도움이 될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하겠습니다. # 왜 물질전달인가? 제가 이번에 연재하는 주제는 물질전달입니다. 물질전달은 유체역학, 열전달과 함께 화학공학의 주축이라고 할 수 있는 이동현상에 관해 배우는 학문인데요. 산업 현장에서는 여러 가지 화학 공정 설계와 최적화, 신기술 개발 등에 사용되고 있는 만큼 화학공학도로서 물질전달을 하나도 모르면 꽝이라고 할 수 있죠. 또한 학부 과정에서 반응공학.. 2016. 1. 3.
#7. Fourier Series(4. Sturm-Liouville Problems) 식이 길어서 잘릴수도 있습니다! 창을 최대 크기로 키워주세요~ 그림 출처 - 이 분이 바로 Liouville 이번 포스팅과 다음 포스팅은 Fourier series를 다루는데에 있어, 가장 큰 고비가 되는 부분입니다. 우리가 여기랑 여기에서 왜 그렇게 열심히 증명을 하고 식을 전개시켰는지 깨닫게 되는 부분이라고도 할 수 있는데요, Legendre와 Bessel은 그 자체만으로도 골칫거리였지만, 그것을 Fourier series에 적용하기 위한 노력(?)을 앞으로 두 포스팅에 걸쳐서 할 예정이거든요. 식도 길고, 내용도 복잡하니 정신차리고 잘 따라옵시다! Fourier series - 왜 그렇게 삼각함수를 좋아하는가? 이 얘기는 한 번 한 적이 있는 것 같습니다. Fourier series에서 식이 간단히.. 2016. 1. 3.
Newbie를 위한 양자역학 15_조화진동자(기본 컨셉) 그림 출처 # Preview Harmonic Oscillator입니다. 두 번째로 간단한 경우죠. 사실 를 푸는 과정은 그리 간단하진 않지만 뭐, 그렇다고 합니다. Oscillate이 진동하다는 뜻이니까… 조화진동자로군요. 이건 흔히 아시는 스프링으로 생각하면 됩니다. 후크의 법칙 의 적용을 받는 그 스프링이죠. 스프링에 의한 위치 에너지 으로 나타나는 것도 알고 있어요. 이 상황에 대해서 약간의 횟수를 거쳐 살펴보기로 합시다. # Meaning on 1D Harmonic Oscillator 스프링의 경우를 왜 다룰까요. #07 중간쯤에서 언급한 거 같아요. 연재를 쉰 기간이 오래 되긴 했지만 전체 카테고리를 보니 그런 기운이 왔어요. 이번에는 그리피스 양자역학 2판의 41쪽에 있는 그림을 들고 왔습니다.. 2015. 12. 30.
재료이야기 #07. Self-healing Material (1) Self-healing Material 오랜만에 돌아온 민시키의 생활 속 재료이야기입니다. 지난 2학기에 포스팅을 전혀 하지 못한 관계로 이번 겨울에 총 9개의 포스팅을 할 계획입니다! ^^ 다들 방학이 시작할 때는 항상 거창하게 계획을 세우잖아요 ㅎㅎ; 암튼 이번 시간에는 Self-healing Material이라는 신기한 재료에 대해서 다뤄보려 합니다. 아마 두 번에 걸쳐서 진행될 것 같은데요~ 그럼 대망의 일곱 번째 재료이야기 시작합니다~! Self-healing Material? 처음 들어봐요! 재료공학에 관심이 있는 분들 중에서도, Self-healing Material이라는 용어가 생소하신 분들이 많이 있으실 거에요. 어렵게 생각할 필요 없이 단어 뜻 그대로, 스스로 치료하는 재료를 Self-.. 2015. 12. 27.
1-2. DNA의 구조 (3) 그림 출처 들어가기 전에 첫 포스팅에서 말했다 시피, 이 포스팅은 전격 반말 포스팅으로 진행됩니다! 생물학적 지식은 아직도 밝혀지고 있는 만큼, 제가 잘못 쓴 용어와 내용이 많을 수 있습니다. 언제든 지적은 겸허히 받아들이겠습니다! 복습 : DNA 이중나선 구조 얼마나 고생고생을 한 끝에 이중 나선 구조를 밝혀냈는지 저번 시간에 알아봤었어. 항상, 과학자들의 역사를 밟아가는건 힘들기도 하지만 뿌듯함이 남는 그런 일인 것 같네. 얼마나 많은 과학자들이 연구를 했는지, Watson & Crick 둘 만의 업적은 아니다.. 라는 사실을 꼭 기억해두도록 하자. DNA 그리는 방법 DNA를 절대, 대칭적으로 그리면 안된다는 말을 저번 포스팅에서 했었지?Major groove, Minor groove를 잘 살려서 .. 2015. 12. 2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