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TEM - 학술세미나46 Network - 2. 최대흐름 최소절단면 정리 저번 글에서 최대흐름문제가 무엇인지 간단한 예시와 함께 살펴봤습니다. 이번 글에서는 최대흐름 최소절단면 정리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절단면이란, G=(N,A)의 N을, S와 여집합 T로 분할할 때, i ∈ S, j ∈ T인 호 ( i , j ) 의 집합을 의미합니다. δ(S)로 표기할 수 있습니다. 이때 속한 호들의 용량의 합을 u(δ(S)) 로 표기할 수 있습니다. S ∈ S, t ∈ T 이면 δ(S)를 s-t절단면이라고 부릅니다.다음 그림에서 예시를 살펴보겠습니다. 점선은 s와 t를 두 부분으로 분할하고 있기 때문에 s-t절단면입니다. 이 절단면에 속한 호들의 용량은 u(δ(S)) = 8 입니다.이 절단면을 활용해 최대흐름문제의 정리를 살펴볼 수 있습니다.약쌍대 정리는 어떤 s-t 흐름 x의 크.. 2024. 7. 3. Network - 1. 최대흐름그래프 최대흐름 문제는 그래프 이론에서 중요한 문제 중 하나로, 주어진 유향 그래프에서 한 정점에서 다른 정점으로의 최대 흐름을 찾는 문제입니다. 이 문제는 실생활에서 네트워크의 최대 용량을 결정하거나, 자원의 효율적인 배분 문제 등에 응용될 수 있습니다.주어진 그래프에서 각 간선은 특정 용량(capacity)을 가지고 있으며, 한 정점에서 다른 정점으로 흐를 수 있는 최대량을 결정하는 것이 목표입니다. 예를 들어, 도로망에서 한 지점에서 다른 지점으로 자동차의 최대 통행량을 결정하거나, 컴퓨터 네트워크에서 데이터의 최대 전송량을 결정하는 것과 유사합니다.최대흐름 문제를 해결하는 대표적인 알고리즘으로는 포드-풀커슨(Ford-Fulkerson) 알고리즘이 있습니다. 이 알고리즘은 너비 우선 탐색(BFS)을 이용하.. 2024. 7. 3. DeepMind 논문으로 보는 강화학습의 기초 안녕하세요, 저는 현재 인공지능 관련 연구를 진행하고 있는 대학원생 공우 13.5기 김용호입니다. 저는 이번에 딥마인드라는 회사에서 2013년에 발행한 “Playing Atari with Deep Reinforcement Learning”이라는 논문을 바탕으로 강화학습의 기초적인 내용들을 설명해드리려고 합니다. 딥마인드라는 회사는 여러분도 전에 한 번쯤 들어보셨을 텐데요, 그 유명한 알파고를 만든 회사가 바로 딥마인드입니다. 이번에 소개해드릴 논문은 본격적인 강화학습 연구의 시발점이 된 논문이라고도 할 수 있는데요, 딥마인드는 이 논문을 만들고 구글에 인수되어 알파고를 훗날 만들게 되었죠. Introduction 우선 논문 제목부터 살펴보도록 하겠습니다. 논문 제목은 번역을 하자면 “강화학습을 통해 아타.. 2023. 9. 1. 뉴로모픽 컴퓨팅: 반도체로 뉴런 만들기! ‘뇌 모사 컴퓨팅’… 이름만 들어봐도 의미심장한데요. 뉴로모픽 컴퓨팅이라고도 불리는 이 기술은 무려 우리 뇌와 유사하게 동작하는 컴퓨터를 만들고, 이러한 컴퓨터를 다루는 방법에 대해 연구하는 분야입니다. 오늘은 뉴로모픽 컴퓨팅 기술의 개괄과 관련된 반도체 분야 최신 연구 동향에 대해서 이야기해보려고 합니다. 1. 컴퓨터는 어떻게 생겼나? 여러분의 데스크탑, 노트북, 스마트폰, 그리고 워치까지. 우리는 컴퓨터가 온갖 물건에 다 들어가는 시대에 살고 있습니다. 그리고 이러한 컴퓨터는 폰 노이만이라는 과학자가 제안한 구조를 따르고 있습니다. 폰 노이만 구조에서는 정보를 처리/연산하는 중앙처리장치(CPU)와 정보를 보관하는 메모리(RAM)를 구성되어 있는데요. 메모리에 저장된 정보가 시스템 버스를 타고 CPU로.. 2023. 6. 17. ChatGPT는 어떻게 학습됐을까? 안녕하세요! 저는 공우 14기 서민균입니다. 지난 학술세미나에서 ChatGPT에 관한 발표를 했었는데, 그 내용을 공유해 드리고자 합니다. 우선 ChatGPT가 등장하기까지의 과정과 GPT-1~3이 어떻게 학습되었는지를 간단히 살펴볼 것입니다. 이후 이번 글의 하이라이트인 InstructGPT (GPT-3.5)와 ChatGPT가 어떻게 학습되었는지를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ChatGPT란? ChatGPT란 "대화형 인공지능 모델"입니다. GPT는 Generative Pre-trained Transformer의 약자로 "사전에 학습된 대규모 데이터를 활용하여 자연어 생성 및 다양한 자연어 처리 작업에 사용되는 모델"을 일컫습니다. 여기서 Transfomer가 무엇일지 의문이 들 것입니다. Transform.. 2023. 4. 22. 차(茶)의 과학, 차의 공학, 차의 역사 여러분들은 녹차나 홍차와 같은 차라고 하면 어떤 것들이 생각나시나요? 우리 주변에서 흔히 볼 수 있는 현미녹차같은 음료가 생각날 수도 있고, 다도나 티타임과 같이 격식을 차려서 먹는 음료라는 생각이 들 수도 있을 것이라고 생각합니다. 이렇게 가깝다면 가깝고 멀다면 멀게 느껴지는 차. 오늘 이 글에서는 이러한 차의 속에 숨겨져 있는 과학과 공학, 역사를 들여다보고 차를 간단히 즐길 수 있는 방법을 같이 소개해보려 합니다. 차의 과학 & 역사: 차의 종류 알아보기 (1) 차의 색에 따른 분류? 차는 소위 차나무, Camellia Sinensis라는 식물의 잎을 따서 만드는 음료입니다. 중국 남부에서 처음 음용하기 시작해서 초기에는 중국에서 널리 음용되었다고 하는데요, 그래서 그런지 중국 사람들이 부르는 차의.. 2023. 3. 2. 2023 유학생 비자 길라잡이 여러분들은 유학을 꿈꿔 보신 적 있으신가요? 새로운 경험, 보다 넓은 연구 환경 등을 위해 많은 이공계열 학생분들이 유학을 준비하곤 하시는데요. 안전하고 평안한 유학을 위해 2023 비자 길라잡이를 준비했습니다. - 미국 유학 한국 학계와 매우 유사한 생태를 가지면서, 강력한 한인 사회를 가지는 미국은 이공계열 학생들이 유학하기에 굉장히 매력적인 국가입니다. 매년 많은 학생들이 미국으로 유학을 가고 또 대학원을 졸업하고 한국으로 돌아오고 있음에도, 미국은 사실 외국인에게 비자 취득이 상당히 까다로운 국가 중 하나입니다. 그렇다면 미국 비자는 어떻게 구성되어 있을까요? 미국 비자의 경우, 신분과 체류 목적에 따라 각 비자에 알파벳을 붙여 세분화하여 관리합니다. A부터 V까지 수많은 비자 옵션이 있는데요. .. 2023. 2. 17. 적정 기술이 왜 중요한가요? 여러분은 적정기술에 대해 얼마나 알고 있나요? 아마 중학교 도덕 수업이나 기술/가정 수업에서 들어보신 분들이 많으리라고 생각합니다. 하지만 적정 기술의 개념을 얼마나 자세하게 알고 있나요? 단순히 개발 도상국에서 사용되는, 의도가 좋은 기술로만 알고 있는 것은 아닌가요? 오늘은 함께 적정 기술에대해 알아보는 시간을 가지려고 합니다! 적정 기술은 한 공동체의 문화, 정치, 환경적인 면들을 고려하여 만들어진 기술을 의미합니다. 학자들은 대세를 이루는 기술보다 더 적은 자원을 사용하며, 유지하기 더 쉽고, 환경에 더 적은 영향을 미치는 기술을 적정기술이라고 설명하기도 합니다. 따라서 적정 기술은 대개 개발도상국이나 이미 산업화된 국가들의 소외된 교외 지역에 알맞은 단순한 기술을 의미합니다. 대표적인 적정 기술.. 2022. 12. 30. 퀀트 투자에 대해 알아보자 최근 몇 년 동안 코로나19 및 여러 경제 상황으로 인해 주식 투자가 많은 주목을 받아 왔습니다. 하지만, 미 연준(FED)의 발표나, 전쟁 등 개인의 힘으로는 예측하기 힘든 여러 사건들로 인해 높은 수익을 거두기는 힘들게 됩니다. 이에 따라 사람들은 개인의 불완전한 판단이 아닌, 보다 검증이 되어 있는 투자의 규칙을 찾고자 노력하게 됩니다. 그 일환으로 나오는 개념이 바로 계량적인 수치를 근거로 하는 계량 투자, 즉 퀀트(Quant)입니다. 안녕하세요! 저는 공우 12.5기 화학생물공학부 임정욱이라고 합니다. 오늘은 위와 같은 의도에서 시작되는 퀀트가 무엇인지 간단히 알아보고, 그 근간에 있는 금융 관련 원리와 실제 퀀트에 사용되는 여러 공학적 기술들을 다뤄보려 합니다. 먼저 앞서서 퀀트에 대해 간단히.. 2022. 12. 30. 이전 1 2 3 4 ··· 6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