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주의 : 식이 너무 길어서 창 크기가 작으면 식이 잘릴 수 있습니다! 최대 크기로 키워서 봐주세요~
Laplace transform
Laplace transform 두 번째 시간입니다. Laplace transform 자체는 그렇게 어렵지 않지만, inverse transform 이 꽤 난이도가 있고 ‘직관’에 의존하기 때문에 transform 된 형태를 눈에 많이 익혀두고 있는 것이 중요합니다!
일단, 거의 모든 Laplace transform 이 담겨있는 table 하나를 가져와 보겠습니다 ㅎㅎ 여기서 가져온 겁니다1 , 여기서 가져온 겁니다2
네 이렇게….많..습니다 ㅋㅋㅋㅋ Laplace transform 에서 대략 멍해지는 이유는, ‘shifting’에 따른 결과가 굉장히 불규칙적기억하기 힘들다는 점이고, Laplace transform 의 미분, 적분이 들어가는 순간 직관의 영역을 조금 많…이 벗어나 버린다는 것입니다.
ㅋㅋㅋ그래서 하룻밤 벼락치기가 더더욱 힘든 분야입니다. 앞으로 Laplace transform 을 할 때 가장 눈여겨 보아야 할 것은, ’inverse transform이 어떻게 나올 것인가?를 항상 염두에 두는 것이 활용을 위해 맘편하다는 것! 입니다. 그럼 시작해볼까요?
들어가기전에
일단, transform 하기 전의 함수는 전부 t에 대한 함수, 하고 난 함수는 전부 s에 대한 함수라는 걸 기억하고 갑시다~
기본함수
우리가 non-homogeneous ODE를 풀 때 다뤘던 함수들은, 다항함수, 지수함수, 삼각함수, 로그함수 가 있었습니다. 그것에 대한 Laplace transform 을 직접 해보고, 앞으로의 계획을 세워봐요 ㅎㅎㅎ
1. 다항함수
가장 간단한 f(t)=t부터 라플라스에 넣어봅시다.
L(f(t))=∫∞0e−sttdt
부분적분을 먹이기 위해 행렬을 가져와볼게요! 부분적분 어떻게 하는지는 다 알죠?ㅎㅎㅎ
e−stt−e−sts1
∫∞0e−sttdt=[−1ste−st]∞0+1s∫∞0e−stdt
여기서 적분기호가 없는 항은 그냥 0입니다. 무한대로 보내보면 바로 나오는 거니 생략하고… 뒷부분 적분만 한 번 다시 계산해봅시다.
∫∞0e−sttdt=1s∫∞0e−stdt=1s×(−1s)×[e−st]∞0=1s2
이렇게 됩니다. 즉,
L(t)=1s2
이걸 일반적인 경우로 확장시켜보면, f(t)=tn−1을 넣어보겠습니다.
L(f(t))=∫∞0e−sttn−1dt
여기에 행렬을 한 번 더 먹여보면…
e−sttn−1−e−sts(n−1)tn−2
∫∞0e−sttdt=[−1stn−1e−st]∞0+(n−1)s∫∞0e−sttn−2dt
똑같은 모양으로 계속해서 내려갈 것이라는건, 공대생의 직감 정도라면 충분히 파악할 수 있을겁니다 ^0^ ㅋㅋㅋㅋ 즉 적분을 n−1번 하면 끝나게 될겁니다. 그러니까…
L(tn−1)=(n−1)!sn
2. 다항함수 심화판
사실 n자리에 자연수 말고 실수를 넣어도 성립하기는 합니다. 그런데 실수에서는 팩토리얼이 아닌, Gamma function을 쓰기 때문에 살짝 다른 형태를 가지겠죠? 결론만 말하자면,
L(ta−1)=Γ(a)sa
이렇습니다. 단, a−1>−1(a>0)이라는 조건이 반드시! 붙는다는 것 주의해야합니다. 분수함수에 대한 Laplace transform 은 꽤나 까다롭기 때문에..
그러면 a=12를 넣어볼까요?ㅋㅋㅋ Gamma function 의 12값은 알고있으니까,
L(1√t)=√π√s
이런 결과를 얻을 수 있습니다! ㅎㅎ
3. 지수함수
지수함수는 사실 제일 쉽습니다. 굳이~ 이걸 해야하나 싶....어차피 자체 라플라스 안에 지수함수가 들어있기 때문에, 알아서 잘 정리가 되는거죠! f(t)=eat를 넣어보겠습니다.
L(f(t))=∫∞0e−steatdt
부분적분이 필요없는 좋은 식입니다. ㄱㄱ!
∫∞0e−steatdt=∫∞0e−(s−a)tdt=[−1s−ae−(s−a)t]∞0=1s−a
끝!ㅋㅋㅋ
L(eat)=1s−a
이 식은 엄청 중요한 결과를 도출해낼 수 있는 식입니다. 나중에 볼 s shifting 과 관련이 있는 식이니, 간단하지만 결과로 나온 1s−a를 꼭 기억해 둡시다~
4. 삼각함수
지수함수와 삼각함수의 곱을 적분하는 건 그리 달가운 일은 아니기 때문에
암기를 해두는 것을 추천…ㅎㅎ 일단, f(t)=cosωt와 f(t)=sinωt를 각각 대입해봅시다.
L(cosωt)=∫∞0e−stcosωtdtL(sinωt)=∫∞0e−stsinωtdt
각각 부분적분을 먹여보면…
(e−stcosωt−1se−st−ωsinωt) (e−stsinωt−1se−stωcosωt)
∫∞0e−stcosωtdt=[−1se−stcosωt]∞0−ωs∫∞0e−stsinωtdt=1s−ωsL(sinωt)∫∞0e−stsinωtdt=[−1se−stsinωt]∞0+ωs∫∞0e−stcosωtdt=ωsL(cosωt)
네, 두 함수는 서로 순환하는 관계를 가지고 있다는거, 알 수 있겠죠? 그러면 먼저 f(t)=cosωt부터 살펴봅시다.
L(cosωt)=1s−ωsωsL(cosωt)=1s−ω2s2L(cosωt)
따라서, 정리하면
s2+ω2s2L(cosωt)=1sL(cosωt)=ss2+ω2
어떤 과정인지 알겠죠? 그러면 f(t)=sinωt도 살펴봅시다.
L(sinωt)=ωs(1s−ωsL(sinωt))=ωs2−ω2s2L(sinωt)
즉, 정리하면
s2+ω2s2L(sinωt)=ωs2L(sinωt)=ωs2+ω2
그러니까, 정리하면
L(cosωt)=ss2+ω2L(sinωt)=ωs2+ω2
이런 결과가 성립하더라~ 라는겁니다 ㅎㅎ 굉장히 형태가 헷갈리게 생겼으니, 잘 눈에 익혀 둡시다.
역변환 시키기
Laplace transform 의 꽃은 뭐니뭐니해도, 역변환입니다. 다시 t에 대한 함수로 돌려놓지 않으면 아무 쓸모가 없거든요! 아직은 할 수 있는게 많지 않으니, 간단한 예시 두 개만 들어보겠습니다.
Example 1.
F(s)=0.2s+1.4s2+1.96
일단 분모에 실수범위에서 인수분해가 되지 않는 항이 있으니, 삼각함수꼴이 원래의 함수라는 추측을 할 수 있습니다. 그렇다면, 분자에 s가 있느냐 상수가 있느냐에 따라 삼각함수의 종류가 달라지겠네요! 그러니 식을 찢읍시다. ㅎㅎ
0.2s+1.4s2+1.96=0.2ss2+1.96+1.4s2+1.96
분모는, s2+1.42로 고쳐질거고, 그러면 거의 끝난 것이나 다름 없습니다.
0.2×ss2+1.42⏟0.2cos1.4t+1.4s2+1.42⏟sin1.4t
그러니까,
f(t)=0.2cos1.4t+sin1.4t
로 결정된다는 것을 알 수 있겠죠 ㅎㅎ
Example 2.
F(s)=4s+32s2−16
이번에는 분모에 실수범위에서 인수분해가 되는 항이 있습니다. 그러니 인수분해를 해서 s2−16=(s+4)(s−4)로 분모를 찢어놓은 다음, 부분분수를 사용해서 분자를 결정합시다.
4s+32s2−16=as+4+bs−4=(a+b)s+4(b−a)s2−16
a+b=4,b−a=8라는 결론을 얻을 수 있습니다. 즉, b=6,a=−2겠군요. 다시 써보면,
F(s)=−2×1s+4+6×1s−4
이렇게 나오는 건 f(t)가 지수함수 꼴이었을 때의 결과였습니다. 주의할 것은 부호가 반대라는 것! 이것에 주의해서 써보자면,
−2×1s−(−4)⏟−2e−4t+6×1s−4⏟6e4t
따라서,
f(t)=−2e−4t+6e4t
앞으로의 계획
오늘은 가장 기본, 기본중의 기본 함수에 대한 얘기를 해봤습니다. 다음 시간에는, 특수한 목적을 가진 함수 몇 개를 정의한 다음, 그에 대한 Laplace transform 이 어떻게 나오는지 살펴보도록 하겠습니다. Laplace transform 을 가장 쓸모있게 해주는 함수거든요!
앞으로 Laplace transform 의 다양한 계산법을 차근차근 포스팅해 나갈겁니다. 8~10개의 포스팅을 생각하고 있어요 ^0^ 차근차근 따라오면서 눈에 많이 익혀둡시다. 특히 삼각함수!
- Laplace transform이 갖는 의의
- 기초적인 Laplace transform
- unit step function과 dirac’s delta function
- shifting과 정수배
- 미분, 적분 관계
- Laplace transform 의 곱셈법칙 : convolution
- 주기함수
- 실전 문제 풀이
'지난 연재물 - 수학 & 통계학 > [상미분방정식] 참새와 함께하는 공학수학 - ODE 편' 카테고리의 다른 글
#5.Laplace transform(3. shifting, multiplying) (2) | 2015.07.03 |
---|---|
#5.Laplace transform(2. unit step function, dirac's delta function) (6) | 2015.06.29 |
#5.Laplace transform(0. 시작하며) (2) | 2015.06.25 |
#4.series solution(6. 끝맺음말) (0) | 2015.06.20 |
#4.series solution(5. Legendre, Bessel 의 응용) (3) | 2015.06.18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