멱급수
안녕하세요~ EsJay입니다. 어쩌다보니 글을 격주로 올리고 있네요. 저는 드디어 빅엿을 먹은 지옥의 기말고사 기간을 마치고 종강을 하였습니다!!(짝짝짝) 근데 다음주에 또 겨울학기 시작이네요.. ㅎㅎ 하. 뭐 어쩌겠습니까. 대학생의 본분대로 공부를.. 해야..죠.. ㅠㅠ
지난 번에 살펴본 수열과 급수의 기본적인 내용을 바탕으로, 오늘은 멱급수(power series)를 살펴보도록 할게요. 테일러 급수로 가는 3부작의 중간 단계로 출발합니다.
수열과 급수 ▶ 멱급수 ▶ 테일러 급수
일단 간단하게 멱급수의 정의와 개념을 한 번 살펴보고 들어가보실까요. 멱급수도 이름에 나와있다시피, 결국은 급수의 한 종류입니다. 직역하면 강한 급수...가 아니라 일반항에 지수(exponent)가 들어가 있는 형태이기 때문에 멱급수(power series)라고 부르지 않나 싶어요. 보통은 지수의 밑을 변수로 두는 함수의 꼴로 나타낸다고 합니다.
- Definition 2.1. 멱급수(power series)
- 다음과 같이 주어진 실수 수열 이 있다고 할 때, 다음과 같은 에 대한 무한 차수(infinite degree)의 다항함수 를 으로부터 얻어진 멱급수라고 한다. 문자로서 다음과 같이 표기한다.
멱급수는 정의에서 보시다시피 다항함수(polynomial)입니다. 다항함수만큼 우리에게 익숙한 함수도 없겠죠. 무엇보다도 미분과 적분이 손으로 그냥 할 수 있을 만큼 간단하기 때문에, 이들에 대한 해석이나 그래프 작성은 그 어떤 함수들보다도 편리하게 할 수 있습니다. 그리고 이번 아티클의 후반부에서, 우리가 미적분학에서 자주 다루는 함수들(자연지수함수, 사인함수 등)이 놀랍게도 멱급수의 형태로 표현될 수 있음을 확인하게 될 거에요.
지수함수나 삼각함수가 다항함수로 표현될 수 있다니. 어떻게 그런게 가능하냐고요? 처음 보면 좀 믿기 어려울 수도 있겠지만 사실 앞으로 테일러 정리를 배우게 된다면 더욱 명료한 사실이 될 것입니다. 그리고 비단 지수함수나 삼각함수가 아니어도, 세상의 수많은 미분가능한 함수들이 이런 멱급수의 꼴로 치환될 수 있다는 것도 알 수 있게 될겁니다.
“ 멱급수의 수렴과 수렴반경
먼저 멱급수는 당연하겠지만 에서 언제나 수렴합니다. 그 값은 수열의 첫 번째 항인 이 되겠죠. 그렇다면 다른 값에 대해서 멱급수는 어떠한 수렴의 형태를 보일까요? 다음의 세 가지 예제를 살펴보면 답을 알 수 있습니다. 1장에서 배운 수렴판정법들을 한 번 써먹어 봅시다.
- Sample Problem 2.1.
은 오직 의 한 점에서만 수렴함을 보이시오.
- Sample Problem 2.2.
은 모든 실수 에 대해서 수렴함을 보이시오.
- Sample Problem 2.3.
은 의 특정한 범위에서 수렴함을 보이시오.
위의 세 가지 예시에서, 우리는 멱급수의 수렴과 발산에 대해서 오직 다음의 세 가지 케이스만이 존재함을 유추할 수 있죠.
- 오직 에서만 으로 수렴한다. (수렴 반경 0)
- 모든 실수 범위의 에서 수렴한다. (수렴 반경 )
- 일 때 수렴하고, 일 때 발산하는 양의 실수 을 갖는다. (수렴 반경 )
다만 세 번째 케이스의 경우, 수렴 반경의 두 경계점인 과 에 대한 수렴·발산 여부는 멱급수에 따라 다를 수 있습니다. 이 두 지점에 대해 각각 수렴과 발산을 따로 파악해주어야 진정한 수렴 범위를 알 수 있습니다. 예를 들자면, 은 수렴반경이 1인 멱급수인데 일 때는 조화급수가 되어 발산하고, 일 때는 수렴하는 교대급수가 되어 수렴하므로 수렴범위는 이 될 것입니다.
멱급수의 형태가 다소 복잡하다면, 다음의 정리를 이용해서 멱급수의 수렴반경을 구할 수 있습니다.
- Theorem 2.1. 멱급수의 수렴반경
- 멱급수 에 대해, 만약 다음의 극한이 존재한다면, 이 멱급수의 수렴반경은 가 된다. 단, 인 경우는 수렴반경이 인 경우이고, 극한이 ‘양의 무한대’로 발산하는 경우는 수렴반경이 0인 경우이다.
멱급수의 수렴범위를 구하는 과정을 한 번 정리해볼까요. 첫째, Theorem 2.1.을 통해 멱급수의 수렴 반경을 계산한다. 둘째, 수렴 반경이 유한한 크기의 실수라면, 두 경계점에 대해서 따로 수렴과 발산을 판정하여준다. 셋째, 부등식의 형태로 수렴범위를 표기하여준다. 만약 수렴반경을 구하는 것만으로 충분하다면, 첫 단계만 진행하면 원하는 답을 얻을 수 있을 겁니다!
“ 멱급수의 기본정리
멱급수는 다항함수이긴 하지만, 특별한 점이 하나 있죠. 바로 차수가 무한하다는 점입니다. 우리가 지금까지 다뤄온 다항함수는 그 차수가 유한하였으며, 또한 그런 다항함수는 주어진 정의역(일반적으로는 실수 전체)에 대해 항상 미분과 적분이 간단하게 가능함을 알고 있습니다. 차수가 무한한 멱급수에 대해서도 성립할까요? 증명은 생략하겠지만, 아래의 정리는 멱급수도 기존의 공식과 큰 차이 없이 미적분이 가능함을 이야기해줍니다.
- Theorem 2.2. 멱급수의 기본 정리
수렴반경이 인 멱급수 에 대하여,
- 멱급수 은 수렴 반경 을 갖는다.
- 멱급수 은 수렴 반경 을 갖는다.
- 으로 정의되는 함수 에 대해
가 성립한다.
그러면 멱급수의 기본 정리를 이용해서, 몇 가지 급수가 실제로 어떤 값을 갖게 되는지를 살펴볼까요. 우리는 이미 에 대해 이 1/(1-x)가 됨을 고등학교 때부터 알고 있습니다. 따라서 에서 정의되는 함수 를으로 둔다면,이 됩니다. 따라서 다음을 알 수 있겠군요. 의 정의역이 -1에서 1 사이임을 유의하면, 와 같은 결과를 얻어낼 수 있을 겁니다.
- Sample Problem 2.4.
다음 급수 는 어떤 값을 가지는지 조사하시오.
“ 멱급수 형태의 지수함수와 삼각함수
샘플 문제에서 무심하게 지나쳐온 급수가 하나 있습니다. 수렴반경은 이고, 따라서 실수 전체에서 정의되는 다음의 멱급수를 라 정의하겠습니다 (이름부터 뭔가 지수함수의 냄새가 나는…읍읍) 멱급수의 기본 정리로부터 이 함수는 다음과 같은 재미있는 성질을 갖는 것을 알게 됩니다. 심심하다면 직접 증명을! 그런데 우리는 도함수가 자기 자신과 똑같은 함수를 하나 더 알고 있죠. 바로 자연상수를 밑으로 갖는 자연지수함수 입니다. 직감적으로 알아채셨겠지만, 두 함수는 사실 동일합니다.
- Theorem 2.3. 자연지수함수의 멱급수 표현
- 자연지수함수의 멱급수 표현은 다음과 같다.
이번에는 조금 다른 모습의 두 멱급수를 소개해보죠. 둘 다 수렴반경은 역시 이고, 따라서 실수 전체에서 정의됩니다. S랑 C를 보고 감을 잡으셨나요? 역시 멱급수의 기본 정리에 의해 다음을 압니다.그리고 우리는 또 서로간에 이런 관계를 가지는 두 함수를 알고 있죠. 바로 사인함수와 코사인함수입니다. 네, 그리고 이 함수쌍은 동일합니다.
- Theorem 2.4. 사인함수, 코사인함수의 멱급수 표현
- 사인함수 및 코사인함수의 멱급수 표현은 다음과 같다.
위의 멱급수 표현에 대한 증명과정을 살펴보면, 다소 기술적인 부분이 들어가 있는 걸 확인하실 수 있을 겁니다. 사실 겉으로 보이는 증명 과정은 정말로 깔끔해 보이지만, 아마 저 증명을 처음 만든 수학자는 미분했을 때 0이 되는 함수의 형태를 고안하느라 머리 꽤나 썼을 거에요. 과연 다른 함수들은 이렇게 멱급수 표현이 가능할까요? 사인과 코사인, 그리고 지수함수의 경우에만 특별하게도 멱급수로 나타나는 건 아닐까요?
ㅎㅎ 왜 물어봤겠습니까. 정답은 '아니오'지요. 이제 다음 아티클에서는 3부작의 최종 목표가 될 테일러 급수(Taylor series)를 배우게 될 건데요, 바로 이 테일러 급수의 유일성과 존재성에 의해 수 많은 미분가능 함수들은 모두 멱급수로 표현 가능하다는 결론을 얻을 수 있습니다. 다음 아티클에서 만나뵙도록 할게요!
'지난 연재물 - 수학 & 통계학 > [벡터 미적분학] 나누고 쌓는 벡터 미적분학 by EsJay' 카테고리의 다른 글
Vector Calculus 05. Space and Coordinate System _ 02 (0) | 2017.03.30 |
---|---|
Vector Calculus 04. Space and Coordinate System _ 01 (1) | 2017.03.21 |
Vector Calculus 03. Taylor Expansion (0) | 2016.12.31 |
Vector Calculus 01. Sequence & Series (1) | 2016.11.30 |
Vector Calculus 00. Intro (0) | 2016.11.18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