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전체 글391

Network - 2. 최대흐름 최소절단면 정리 저번 글에서 최대흐름문제가 무엇인지 간단한 예시와 함께 살펴봤습니다. 이번 글에서는 최대흐름 최소절단면 정리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절단면이란, G=(N,A)의 N을, S와 여집합 T로 분할할 때, i ∈ S, j ∈ T인 호 ( i , j ) 의 집합을 의미합니다. δ(S)로 표기할 수 있습니다. 이때 속한 호들의 용량의 합을 u(δ(S)) 로 표기할 수 있습니다. S ∈ S, t ∈ T 이면 δ(S)를 s-t절단면이라고 부릅니다.다음 그림에서 예시를 살펴보겠습니다. 점선은 s와 t를 두 부분으로 분할하고 있기 때문에 s-t절단면입니다. 이 절단면에 속한 호들의 용량은 u(δ(S)) = 8 입니다.이 절단면을 활용해 최대흐름문제의 정리를 살펴볼 수 있습니다.약쌍대 정리는 어떤 s-t 흐름 x의 크.. 2024. 7. 3.
Network - 1. 최대흐름그래프 최대흐름 문제는 그래프 이론에서 중요한 문제 중 하나로, 주어진 유향 그래프에서 한 정점에서 다른 정점으로의 최대 흐름을 찾는 문제입니다. 이 문제는 실생활에서 네트워크의 최대 용량을 결정하거나, 자원의 효율적인 배분 문제 등에 응용될 수 있습니다.주어진 그래프에서 각 간선은 특정 용량(capacity)을 가지고 있으며, 한 정점에서 다른 정점으로 흐를 수 있는 최대량을 결정하는 것이 목표입니다. 예를 들어, 도로망에서 한 지점에서 다른 지점으로 자동차의 최대 통행량을 결정하거나, 컴퓨터 네트워크에서 데이터의 최대 전송량을 결정하는 것과 유사합니다.최대흐름 문제를 해결하는 대표적인 알고리즘으로는 포드-풀커슨(Ford-Fulkerson) 알고리즘이 있습니다. 이 알고리즘은 너비 우선 탐색(BFS)을 이용하.. 2024. 7. 3.
에너지자원공학과: 신재생에너지 석유 시대가 끝난다는 이야기를 한 번쯤 들어보셨을 겁니다. 언젠가 고갈될 석유를 대체할 수 있는 수단은 무엇이 있을까요? 신재생 에너지 강좌를 소개합니다.1. 과목에서 배울 수 있는 내용1.1 과목의 전반적인 개요여러분은 신재생에너지 라는 단어를 들으면 태양광이나 풍력, 지열 등의 재생에너지가 바로 떠오르실 텐데요, 신재생에너지는 여기에 기존 화석연료를 응용한 신에너지를 융합한 단어입니다.에너지자원공학과 3학년 1학기 전공선택 과목인 신재생에너지에서는 신에너지와 재생에너지를 모두 다루며, SAM 프로그래밍과 아두이노를 활용한 실습과 함께 전반적인 신재생에너지를 배울 수 있습니다.1.2 키워드 별 개념 설명신재생에너지는 신에너지와 재생에너지를 합한 것으로, 화석연료를 대체하는 수력, 풍력, 태양열과 같은 .. 2024. 7. 1.
컴퓨터공학부: 인간컴퓨터상호작용 안녕하세요, 저는 공우 14기로 활동중인 자유전공학부 21학번 박정인입니다. 오늘 소개할 수업은 컴퓨터공학부의 전공선택과목 '인간컴퓨터상호작용'입니다. 1. 과목에서 배울 수 있는 내용 1.1 과목의 전반적인 개요 수업에서는 HCI(Human Computer Interaction) 분야의 기본 개념을 배우고 한 학기 동안 프로젝트를 진행합니다.  HCI라는 분야가 생소할 수 있을 것이라 생각하는데요, 이에 대해 짧게 설명하겠습니다. HCI는 인간과 컴퓨터의 상호작용에 대해 연구하는 학문으로, 어떻게 하면 사람이 편리하게 컴퓨터 시스템과 상호작용할 수 있는지 고민합니다. HCI 학문의 목표는 사용자들이 기기나 소프트웨어를 효과적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도우며 사용자가 최적의 User Experience(UX.. 2024. 7. 1.
화학생물공학부: 기기분석 안녕하세요, 화학생물공학부 재학 중인 공우 15기 박민규입니다. 지금부터 화학생물공학부의 과목인 기기분석 과목에 대해 소개해드리겠습니다.1. 과목에서 배울 수 있는 내용1.1 과목의 전반적인 개요기기분석은 물질의 분석에 사용되는 다양한 기기들의 구조와 원리를 학습하는 과목입니다. 특히, 여러 분석 기법의 ① 이론적 배경, ② 측정 과정에서 발생하는 오차, ③ 오차를 최소화하기 위한 시료의 조건과 주변 환경 등을 다룹니다. 분석 대상의 특성에 따라 사용하는 기기와 분석 기법이 달라지기 때문에, 이 과목을 제대로 이해하기 위해서는 물질의 특성과 다양한 분석 기법에 대한 폭넓은 지식이 필요합니다.물질의 특성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공유결합 및 이온결합, 결정 구조, 원자 및 분자의 에너지 준위 등에 대한 기본 개.. 2024. 7. 1.
전기정보공학부: 컴퓨터 시스템 프로그래밍 안녕하세요! 공우 15기, 전기정보공학부 장지환입니다. 이 과목은 '22-'23년도에는 대학원 과목인 ‘시스템소프트웨어특강’의 한 세부과목으로 개설되었으나, '24년도부터는 ‘컴퓨터 시스템 프로그래밍’이라는 이름의 강좌가 학부에서 개설됩니다. 처음에 대학원 강좌로 열린 것은 개설 절차가 복잡했기 때문이고, 이전에도 강의 내용은 학부 수준을 지나지 않았습니다. 이 점 참고 바랍니다.1. 과목에서 배울 수 있는 내용1.1 과목의 전반적인 개요컴퓨터와 프로그래밍에 대해 조금씩 공부를 하다 보면 연결이 되지 않거나 의문이 드는 부분이 있습니다. 구체적인 예시와 함께 살펴보죠.위 사진은 변수 a를 선언하고 a의 주소를 출력하는 간단한 프로그램입니다. 여기서 주소란, 해당 변수의 정보가 메모리에서 몇 번째 byte.. 2024. 7. 1.
화학생물공학부: 물리화학 안녕하세요, 화학생물공학부 재학중인 공우 15기 김재원입니다. 저는 화생공의 이후 커리큘럼의 뿌리와도 같은 중요한 과목인 물리화학에 대하여 소개해보고자 합니다. 어쩌면 모두에게 익숙한 과목이지만, 그만큼 정확히 무엇을 배우는지 모르는 경우가 많아 이번 기회에 조금 자세하게 소개해 보려고 합니다.1. 과목에서 배울 수 있는 내용1.1 과목의 전반적인 개요물리화학은 전필 과목으로, 크게 열역학에 대하여 배우는 물리화학1과, 전선 과목이며 크게 볼 때 반응 속도론에 대하여 학습하는 물리화학2 로 나뉘어져 있습니다. 비록 한 과목은 전공선택 과목이지만, 화생공 학부생으로서 3~4학년 때 배워야 하는 다른 전공필수 및 선택과목들에 대한 밑바탕이 되기에, 학부 교육과정의 전체 로드맵에서 매우 중요한 위치를 차지하고.. 2024. 6. 30.
에너지자원공학과: 에너지와 기후변화 ‘이산화탄소와 같은 온실기체가 온실효과를 일으켜 지구를 뜨겁게 만들고 있다’는 이야기는 익히 들어 보셨을 것입니다. 그러나 과연 대기중 이산화탄소는 어디에서 온 것이며, 인간의 활동은 지구 기후에 얼마나 영향을 끼치고 있을까요? 1. 과목에서 배울 수 있는 내용1.1. 과목의 전반적인 개요에너지와 기후변화 수업에서는 지구의 지질환경과 탄소순화에 대해 이해하고 석탄, 석유 그리고 천연가스 같은 전통적인 에너지산업이 탄소순환에 미치는 영향을 배울 수 있습니다. 이를 통해 지구환경의 기후변화 원인을 이해하고 지질특성을 활용한 탄소저감 방법(CCUS) 등에 대해 다룹니다.  1.2 키워드별 개념 설명1) 탄소순환 (Carbon Cycle) 수업의 중반부에는 기후변화가 일어나는 원인인 탄소순환에 대해 학습하고, .. 2024. 6. 30.
전기정보공학부: 로봇공학개론 안녕하세요! 전기정보공학부 19학번으로 재학 중인 공우 15기 황진우입니다. 로봇은 청소기, 무인카페 등 저희 삶 전반에 이미 깊이 관여하고 있습니다. 이런 로봇에 관심을 갖고 계실 많은 분들을 위하여 전기정보공학부 유일의 로봇 관련 수업인 로봇공학개론에 대해서 설명해드리도록 하겠습니다.1. 과목에서 배울 수 있는 내용1.1 과목의 전반적인 개요Introduction to Robotics is a comprehensive course designed to provide students with a solid foundation in the principles and application of robotics. This course will cover a variety of key topics essent.. 2024. 6. 3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