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연재물 - 재료공학17 재료이야기 #08. Self-healing Material (2) Self-healing Material 두 번째 이야기 안녕하세요~ 민시키의 재료이야기 Self-healing Material 두 번째 시간입니다! 이번에는 몇몇 논문과 동영상을 활용하여 다양한 Self-healing Material에 대해 아주 얕게 쉽게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Self-healing concrete and asphalt : Eric Schlangen at TEDxDelft 첫 번째로 볼 영상은 TEDxDelft에서 Eric Schlangen 씨가 발표한 Self-healing concrete에 대한 영상입니다! 말을 많이 하긴 하는데, 한글 자막도 있으니 어렵지 않게 보실 수 있을 거에요! 보고 옵시다~ 간단히 요약해보자면, 일반 콘크리트는 골재와 골재들을 연결시켜주는 역청으로 이루어.. 2016. 1. 11. 재료이야기 #07. Self-healing Material (1) Self-healing Material 오랜만에 돌아온 민시키의 생활 속 재료이야기입니다. 지난 2학기에 포스팅을 전혀 하지 못한 관계로 이번 겨울에 총 9개의 포스팅을 할 계획입니다! ^^ 다들 방학이 시작할 때는 항상 거창하게 계획을 세우잖아요 ㅎㅎ; 암튼 이번 시간에는 Self-healing Material이라는 신기한 재료에 대해서 다뤄보려 합니다. 아마 두 번에 걸쳐서 진행될 것 같은데요~ 그럼 대망의 일곱 번째 재료이야기 시작합니다~! Self-healing Material? 처음 들어봐요! 재료공학에 관심이 있는 분들 중에서도, Self-healing Material이라는 용어가 생소하신 분들이 많이 있으실 거에요. 어렵게 생각할 필요 없이 단어 뜻 그대로, 스스로 치료하는 재료를 Self-.. 2015. 12. 27. 재료이야기 #06. 재료공학의 레시피, Phase Diagram(상평형도) (2) 재료공학의 레시피, Phase Diagram(상평형도) (2) 사진 출처Phase Diagram 두 번째 시간입니다! 오늘은 다양한 예시를 통해서 지난 시간에 배운 내용도 복습하고, 새로운 개념이나 용어, 규칙들을 다루겠습니다~ 시작합시다! 2원 전율고용체계 지난 시간에 2성분계 상평형도의 예시인 Ag-Cu의 Phase Diagram을 봤는데, 사실 모든 2성분계 상평형도가 그러한 형태를 띄는 것은 아니에요. Ag-Cu는 밑에서 다시 보도록 하고, 여기선 2원 전율고용체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2원이란 성분이 2개라는 뜻이겠고, 전율고용체(isomorphous)는 액상과 고상에서 서로 완전한 용해도를 보이는 계를 말해요. 즉 2원 전율고용체란 2개의 성분이 서로 액상에서도 완전히 섞이고, 고상에서도 완.. 2015. 6. 26. 재료이야기 #05. 재료공학의 레시피, Phase Diagram(상평형도) (1) 사진 출처 재료공학의 레시피, Phase Diagram(상평형도) (1) 안녕하세요~ 시험 기간을 마치고 다시 돌아온 민시키의 생활 속 재료이야기입니다. 근 한 달 만이라 블로그 문법도 가물가물.. 아무튼, 요즘 TV나 인터넷을 하다 보면, 냉장고를 부탁해나 마이리틀텔레비전 같은 요리프로가 굉장히 인기더군요. 먹방의 시대가 가고 바야흐로 쿡방의 시대가 온 거지요.. 많이들 요리프로에 나온 음식 레시피에 관심을 가지시길래, 그래서 저도 오늘은 특별한 레시피를 설명해 드리려고 해요. 바로….. 재료공학의 레시피!! Phase Diagram이에요. ㅎㅎㅎㅎㅎ 여긴 스테멘토니까.. 그래서 이번 첫 시간에는 Phase Diagram에 대한 일반적인 내용을 알아보고, 두 번째 시간에는 여러 물질의 Phase Dia.. 2015. 6. 22. 재료이야기 #04. 금속, 세라믹, 폴리머의 특징 및 구조 (2) 3대 재료의 특징 및 구조 두 번째 이야기! 지난 포스팅에서는 금속의 특징과 구조에 대해서 알아보았죠? 이번엔 나머지! 세라믹과 폴리머에 대해서 알아보도록 하죠! 시작! 세라믹(Ceramic)사진 출처두 번째 재료! 바로 세라믹입니다. 왠지 실생활에서 많이 들었던 용어이긴 한데 제대로 된 정의는 잘 모르실 거 같아요. 세라믹이란 금속과 비금속 원소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재료를 뜻해요. 보통 산소와 금속이 결합된 산화물, 질소와 금속이 결합된 질화물, 그리고 탄화물 등이 있어요.(탄화물은 탄소겠죠..?) 알루미나(Al2O3), 실리카(SiO2) 등이 대표적인 세라믹이고 점토, 시멘트, 유리 등도 세라믹이에요. 저는 세라믹 하면 도자기와 화장실 바닥 타일이 가장 먼저 떠오르네요.. ㅎㅎ 대충 어떤 느낌인지 아.. 2015. 6. 1. 재료이야기 #03. 금속, 세라믹, 폴리머의 특징 및 구조 (1) 3대 재료의 특징 및 구조 세 번째 포스팅입니다. 스테멘토 생각을 계속 계속 하면서 지내다 보니까 앞으로의 연재 방향이나 연재 순서 같은 것들이 점차 머릿속에서 잡혀가는 것 같아요 ㅎㅎ 암튼!! 지난 포스팅에서는 재료공학이란 어떤 분야인지 간략히 알아보았지요?! 이번 포스팅과 다음 포스팅에서는 재료공학에서 주로 다루는 3대 재료! 즉 금속, 세라믹, 폴리머가 각각 어떠한 재료를 일컫는 용어인지 알아보려고 해요. 그래서 각 재료의 정의나 주요 특징을 정리해보고, 그러한 재료들이 어떤 구조를 갖는지 알아볼 거에요. 그럼 시작해보겠습니다.!! 3대 재료의 분류 금속(Metal) 사진 출처첫 번째 재료는 바로 금속입니다. 금속 재료란 말 그대로 철, 알루미늄, 구리 등 하나 이상의 금속 원소로 구성된 재료를 말.. 2015. 5. 25. 재료이야기 #02. 재료공학을 알아보자 재료공학을 알아보자! 생각보다 두 번째 포스팅이 늦어졌네요!! 이번 시간에는 우리가 앞으로 계에에에속 다룰 재료공학이 도대체 어떤 학문인지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재료공학부요..?? 요리 하는 과에요..?? 지난 포스팅에서도 언급했듯이 제 전공을 말하면 예상 외로 참 많이 듣는 질문이랍니다. 재료공학부에서 다루는 재료가 뭔지를 잘 이해하기 위해 서울대 재료공학부의 역사를 사알짝 볼까요?? (사진 출처 : 서울대학교 재료공학부 홈페이지) 네!! 보기 좋은 그림이네요. 지금의 재료공학부는 과거의 금속공학과, 무기재료공학과, 섬유공학과, 이렇게 3개의 과가 합쳐져서 생긴 학부입니다. 그렇다면 재료공학에서 주로 다루는 3대 재료가 무엇일지는 쉽게 알 수 있겠죠? 바로 금속재료, 세라믹재료, 고분자재료입니다. 최.. 2015. 5. 17. 재료이야기 #01. 첫 이야기 민시키의 생활 속 재료이야기 안녕하세요~ STEMentor에서 민시키의 생활 속 재료이야기라는 새로운 카테고리로 글을 연재하게 된 STEM 6기이자 서울대학교 재료공학부 13학번의 오민식이라고 합니다. 제가 맡게 된 카테고리의 이름에서 아실 수 있듯이 저는 저의 전공인 재료공학에 대한 이야기를 풀어나가려고 합니다!! 인터넷에 제 이름으로 글을 게시하는 건 학창 시절 애용하던 흑역사덩어리 싸이월드 이후로 처음인 것 같아요. 그래서 이렇게 글을 쓰는 게 조금 어색하기도 하고, 말투를 어떻게 해야 하는 건지 아직은 잘 모르겠지만, 열심히 쓰다 보면 차차 나아질 거라 믿어요.. ㅎㅎ 새삼 파워 블로거들이 대단하게 느껴지네요. 아무튼, 주기적으로! 열심히! 재료공학에 대한 이야기를 들려드릴 수 있도록 노력하겠습니.. 2015. 5. 5. 이전 1 2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