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전체 글399

전기정보공학부: 확률변수 및 확률과정의 기초 안녕하세요! 공우 16기 전기정보공학부 23학번 정인수입니다. 저는 오늘 여러분들이 '확률변수 및 확률과정의 기초'라는 강의를 수강하기 전, 해당 학문에 대한 전반적인 이해와 올바른 관점으로 개념들에 접근할 수 있도록 돕기 위해 해당 글을 작성해보려 합니다.1. 과목에서 배울 수 있는 내용 1.1 과목의 전반적인 개요 확률변수 및 확률과정의 기초는 전기정보공학에서 불확실성을 수학적으로 다루는 핵심 과목입니다. 이 과목은 확률 공리, 확률변수, 확률분포, 중심극한정리, 큰수의 법칙, 신뢰구간, 그리고 확률과정 등을 다룹니다. 초반에는 확률의 기본 개념과 공리를 통해 확률 모델을 구축하는 방법을 배우고, 중반에는 이산 및 연속 확률변수, 다변수 확률변수, 랜덤 벡터를 탐구합니다. 후반부에서는 포아송 과정, .. 2025. 9. 4.
전기정보공학부: 신호 및 시스템 안녕하세요! 공우 16기 전기정보공학부 23학번 정인수입니다. 저는 오늘 여러분들이 '신호 및 시스템'이라는 강의를 수강하기 전, 해당 학문에 대한 전반적인 이해와 올바른 관점으로 개념들에 접근할 수 있도록 돕기 위해 해당 글을 작성해보려 합니다.1. 과목에서 배울 수 있는 내용 1.1 과목의 전반적인 개요 신호 및 시스템은 전기정보공학부의 핵심 기초 과목으로, 신호(signal)와 시스템(system)의 이론적 개념과 실질적 응용을 아우르는 과목입니다. 이 과목은 시간 영역(time domain), 주파수 영역(frequency domain), 샘플링(sampling), 변환(transform), 선형 시변 시스템(linear time-invariant system, LTI)을 중심으로 신호의 특성과 .. 2025. 9. 4.
전기정보공학부: 디지털집적회로 안녕하세요! 공우 14기 전기정보공학부 한동민입니다. 저는 전기정보공학부 4학년 과목인 디지털집적회로에 대해 소개해보려고 해요. 참고로 2024년 2학기에 수강했습니다!1. 과목에서 배울 수 있는 내용 1.1 과목의 전반적인 개요 디지털집적회로는 말 그대로 디지털 회로를 트랜지스터 레벨에서 설계하고 이해하는 과목이에요. 2-3학년 수업에서 배운 논리설계와 전자회로 관련 지식을 바탕으로, 실제 칩 설계 과정에 가까운 내용을 다루게 됩니다. 단순히 논리 게이트를 그리는 수준이 아니라, 트랜지스터 크기(sizing), 동작 원리, 지연(delay) 분석, SRAM, DRAM 등의 메모리 구조까지 폭넓게 배우게 되죠.특히 수업에서는 이론과 실습이 균형 있게 구성되어 있어요. 이론 수업으로 각종 회로와 소자의 .. 2025. 9. 3.
컴퓨터공학부: 확장형 고성능 컴퓨팅 안녕하세요! 공우 14기 전기정보공학부 한동민입니다. 저는 컴퓨터공학부 대학원 과목인 확장형 고성능 컴퓨팅에 대해 소개해보려고 해요. 참고로 2024년 1학기에 수강했습니다! 1. 과목에서 배울 수 있는 내용 확장형 고성능 컴퓨팅. 이름부터 살짝 진입장벽이 있긴 하지만, 이 과목은 결국 GPU라는 프로세서를 OpenMP, MPI, OpenCL, CUDA 등 다양한 병렬 프로그래밍 모델을 통해 최대한 활용하고자 하는 데 그 목적을 두고 있어요. 고성능 컴퓨팅이라 함은 단순히 연산의 고성능을 달성하는 것에서 벗어나, 어떻게 하면 계산 과정을 하나의 프로세서에서 거의 무한대의 연산 능력을 가진 데이터센터에 이르기까지 완벽하게 확장 가능(scalable)하게 할 수 있는지를 고민해야 해요. 그리고 병렬성(par.. 2025. 9. 3.
에너지자원공학과: Geophysical Monitoring 안녕하세요, 공우 15기 홍희주입니다.오늘은 Geophysical monitoring이라는 과목에 대해서 소개해보려고 합니다.1. 과목에서 배울 수 있는 내용 1.1 과목의 전반적인 개요 ‘Geophysical Monitoring’은 지구 내부에서 발생하는 시공간적 변화를 물리적 탐사 기법을 통해 관측하고 정량화하는 과목으로, 탄화수소 생산이나 이산화탄소 주입 등 인공적인 지하 활동에 따른 지하 구조의 시공간 변화를 해석하는 능력을 기르는 것을 목표로 합니다. 본 수업은 시간차 지진탐사(time-lapse seismic survey)를 중심으로, 지진파 자료 획득, 신호 처리, 영상화 및 해석의 흐름에 따라 구성되어 있습니다. 학생들은 이론적 배경뿐만 아니라 데이터를 이용한 프로그래밍 과제를 통해 모델.. 2025. 9. 1.
화학생물공학부 : 양자역학의 기초 안녕하세요. 화학생물공학부에 재학 중인 16기 이한희입니다. 분자에 대한 복잡한 성질을 이해하고 계산하기 위해서는 양자역학에 대한 이해가 필수적입니다. 그렇기에 오늘 소개해드릴 과목은 추후 논의되는 양자역학을 이해하기 위해 필요한 양자역학의 기초에 대하여 소개해드리도록 하겠습니다. 1. 과목에서 배울 수 있는 내용1. 1 과목의 전반적인 개요 양자역학의 기초는 분자 시스템의 결합을 이루는 전자를 기술하는 양자역학을 배우는 과목입니다. 그렇기에 양자역학을 통해 화학을 기술하는 물리화학의 양자화학을 간단하게 배운다고 보시면 됩니다. 물리화학은 물리학을 통해 화학현상을 기술하고 해석하는 학문입니다. 이러한 물리화학은 크게 3가지 분야로 나뉘는데 물리화학1에서 배우는 열역학, 물리화학2에서 배우는 속도론, 그.. 2025. 8. 30.
컴퓨터공학부: 자료구조 안녕하세요 공우 16기 박준상입니다. 저는 화학생물공학부 학생이지만 컴퓨터 공학부를 부전공으로 진행중이기에 해당 수업을 이수하게 되었습니다. 컴퓨터 공학부의 학생이라면 효율적인 구조화를 위해 몰라서는 안 될 필수적인 기초지식인 자료구조, 이 자료구조의 기본을 다지는 자료구조 수업에 관하여 소개해드리려 합니다.1. 과목에서 배울 수 있는 내용1.1 과목의 전반적인 개요자료구조 수업은 상황에 맞는 가장 적합한 자료 구조의 선택을 돕는 과목입니다. 이때, 적합한 자료 구조에 관하여 이해하기 위해서는 해결하고자 하는 문제와, 주어진 자원에 대한 분석이 필수적입니다. 주어진 자원을 얼마나 효율적으로 사용하는지는 수치적으로 분석할 수 있어야 서로 다른 자료구조 간의 상대적인 우위를 이해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이 .. 2025. 8. 30.
화학생물공학부: 분석화학 안녕하세요, 화학생물공학부 재학중인 공우 16기 박준상입니다. 화학생물공학부에 진학한 이후 처음으로 전공선택의 고민을 주는 과목이 이 분석화학 과목입니다. 특히 당시 제 기준에서는 물리화학, 유기화학과 같은 과목들은 이름만 들어도 매우 직관적으로 대표될 수 있는 내용과 이미지가 떠오르지만, “분석화학”이라는 말만 들었을 때에는 내가 여기서 무엇을 배우고 얻어가야 하는 건지 와닿지 않아 고민을 했던 것 같습니다. 그러나 배우고 나니 분석화학은 화학생물공학부의 학생이라면 알아야 할 기초 지식을 폭넓게 배울 수 있는 과목이라는 생각이 들어 무엇을 배우며 어디에 도움이 될 수 있는 과목인지 소개해드리려 합니다.1. 과목에서 배울 수 있는 내용1.1 강의 개요분석화학에서 배우는 내용은 아래와 같이 크게 3개의 파.. 2025. 8. 30.
건축학과: 건축공학시스템설계 안녕하세요! 공우 14기 건축학과 서민균입니다. 건축학과에서는 건축학전공, 건축공학전공 모두 졸업 설계를 진행해야 합니다. 건축공학전공의 졸업 설계 과목이 건축공학시스템설계입니다. 졸업을 위해서 반드시 수강해야 하는 이 과목에 대해 모든 걸 알려드리겠습니다! 1. 과목에서 배울 수 있는 내용   1.1 과목의 전반적인 개요 이 과목은 4학년 때 듣는 전공필수 과목입니다. 지금까지 배운 모든 건축 공학 지식을 활용해 최종 졸업 작품을 만드는 과목입니다. 3인 1조로 진행되며, 각각 구조/시공/환경 중 한 분야를 맡아 설계를 진행합니다. 설계의 주제는 공유하지만, 각자 맡은 분야에서 설계를 진행하기 때문에 조원 각자의 할 일은 명확하게 구분됩니다. 건축학전공과는 달리 공학 전공은 주제가 따로 주어지지 않습니.. 2025. 1.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