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정기연재 - 수학 & 통계학/[상미분방정식] 참새와 함께하는 공학수학 - ODE 편

#2-2nd order ODE(1.homogeneous : Euler-Cauchy)

by 알 수 없는 사용자 2014. 12. 25.



이미지 출처

#어디까지 왔니?




잠깐! 왼쪽 수식이 깨져보인다면 클릭!

2. 오일러-코시(Euler-Cauchy) 방정식

저번 포스팅에 이어, 이번시간에 살펴볼 방정식은 Euler-Cauchy 형태의 방정식입니다. 어떻게 생겼냐면… .

이렇게 생긴 미분방정식을 Euler-Cauchy 방정식이라고 하구요, 이걸 푸는데에 있어 착안한 점은 이렇습니다.

  • 만약, 가 최고차항이 차인 다항식이고, 꼴이라면, 저 식에 대입했을 때 세 항이 모두 차로 정리가 될 거니까, 으로 묶을 수 있겠구나!

ㅋㅋ 무슨말이냐구요? 저 윗식에 을 넣어보면,

니까,

이렇게 정리가 될겁니다. 근데, 인건 별 로 의미가 없는 자명해니까, 그걸 제외한 해는 여기서 구해질겁니다.

즉,

에 대한 이차 방정식이 나오게 되는 거죠. 이 것을 auxiliary equation, 특성방정식 이라고 부를겁니다.
(+잡담 : 사실, auxiliary equation 을 구글에 검색하면 characteristic equation 이라고 나오는데, Kreyzig 아저씨는 굳이 auxiliary equation이라고 쓰시더군요…)
여튼, 이 이차방정식의 근의 종류에 따라 또 세 가지 경우로 나뉠 겁니다. ㅋㅋㅋㅋㅋㅋㅋ 쓰기 싫다.. ㅎㅎㅎㅎ 이것도 마찬가지로 예제를 통해 익혀봅시다!

#2-1. 두 실근을 가지는 경우


이 경우, 특성방정식은 아래와 같이 나옵니다.
의 결과를 얻겠죠. 그 렇다면, 다시 원래의 에 집어넣어줍시다.

따라서, 최종 정리한 형태는 이렇게 나옵니다.

여기까지는 간단합니다!ㅎㅎ

#2-2. 중근을 가지는 경우


이 경우에는, 특성방정식이 이렇게 나오겠죠!
그 러니까 밖에 얻지 못하고, 까지만 구할 수 있습니다. 이럴 경우 해법 은, 차수축소법, Reduction of order 였습니다. 계속 쓰이네요 ~.~
라고 두고 우리가 그 동안 했던 것 처럼 순서대로 내려가 보겠습니다.




적당히 묶고 정리해보면!


어디서 많이 본 것 같죠? 라 고 치환!

separating variables!

드디어! 그러므로, 가 나오게 되는 거겠죠. 이제 를 구할 수 있게 되었습니다!

참고로, 숫자를 넣지 않고 을 넣은 상태에서 계산을 해도 가 항상 나옵니다. 즉, Euler-Cauchy 방정식에서 중근이 나올 때는 두번째 해를 구할 때 를 곱해주면 된다는 사실을 알 수 있겠죠?
최종 정리 결과는!

#2-3. 두 허근을 가지는 경우


는, 마찬가지로!
이니까, 의 결과를 얻을 수 있습니다. 그러면……

를 얻을 수 있죠. 하지만, 이번에는 오일러 공식을 쓰지 못합니다 왜냐하면 아래에 지수함수가 아닌 가 있기 때문에…ㅠ
그래서 수학자들은 하나의 꼼수를 씁니다. 그것은 바로…

요런 방법으로 변형을 시켜주는 것! 라는 걸 제대로 악용(?)했네요 ㅋㅋㅋ 그렇다면, 계속해서 오일러 정리를 써봅시다!

네 그렇습니다 ㅋㅋ ㅎㅎㅎ…………………………………삼각함수 안에 자연로그가 들어간, 조금 복잡한 형태 가 되어버렸네요 ㅠㅠ
어쨌든, 최종으로 정리를 해주자면..

요런 모양을 얻을수 있습니다.

정리

이번에도 좀 폭풍같았던 포스팅이었나요 ?ㅠㅠㅋㅋㅋ 상수계수와 오일러 코시의 다른점이라면, 특성방정 식의 1차항의 계수만 다르고 나머지는 모두 같았습니다. 그리고, 오일러 코시 방정식의 경우 아래에 지수함 수가 아닌 가 있다는 것 때문에 중근을 가질 때와 허근을 가질 때 조금 더 복잡한 처리 과정을 거쳤죠!

이렇게 우리는, 정말 기본이 되는 두 가지 2nd order ODE를 배워봤습니다. 이번에는 Problem set을 준비 하지 않았는데요, 그냥 숫자만 바꿔서 연습을 충분히 할 수 있기 때문이에요. 숫자를 조금씩 바꿔가면서 여러가지 시도를 해보고, 확실히 익혀둬 야 앞으로 풀 ODE들을 자연스럽게 풀 수 있을 겁니다. 화이팅!

다음 포스팅에서는, non-homogeneous 한 2nd order ODE를 푸는 방법으로 두 가지를 다뤄 보려고 합니다. 거기서도 homogeneous 한 ODE를 기반으로 풀이를 시작하니까, 확실히 다져서 만나도록 해요! 뿅!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