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정기연재 - 수학 & 통계학/[상미분방정식] 참새와 함께하는 공학수학 - ODE 편

#4-series solution(3. Frobenius method : 정수차 근 : log term이 사라지지 않는 경우)

by 알 수 없는 사용자 2015. 4. 29.


사진출처 : 이분이 바로 그 프로베니우스!

#어디까지왔니?

어째 위치가 더 천천히 가는 것 같은 느낌은 무시합시다 ㅎㅎㅎㅎㅎㅎ

Frobenius method

  • 3-1 : 기초적인 방법
  • 3-2 : 문제 풀이(정리가 되지 않는 경우) 
    • 3-2-1. 중근을 가지는 경우
    • 3-2-2. 가 정수인 두 근을 가지는 경우 
      • 첫 번째 예제 : 항이 남아있는 경우
      • 두 번째 예제 : 항이 지워지는 경우
    • 3-2-3. 가 정수가 아닌 두 근을 가지는 경우
  • 3-3 : 문제 풀이(정리가 되는 경우) 
    • 3-3-1. 중근을 가지는 경우
    • 3-3-2. 가 정수인 두 근을 가지는 경우

에 대해서 포스팅이 진행될 예정이라고 했구요, 오늘 할 것은 바로 3-2-2에 해당하는, 가 정수인 두 근을 가지는 경우에 대한 이야기 입니다.

가 정수인 두 근을 가지는 경우
(단, )
를 기억해두고 오늘도 긴 여정을 출발해봅시다 ㅋㅋ

첫 번째 예제

#0. 예제

오늘은 예제가 특별히 두 갭니다 ㅋㅋㅋㅋㅋㅋㅋㅋㅋ 벌써부터 힘들죠?ㅠㅠ 왜그런지는 차근차근 따라오다 보면 알 수 있을겁니다!


크게 어려워보이지는 않는 식입니다. 적어도 저번 포스팅 보다는…ㅋㅋㅋ
일단 power series가 사용되지 않을 거라는 것은, 가 되니까 에서의 series 전개를 시킬 수가 없네요 ㅠㅠ Frobenius method를 사용하기 위해 식을 변형해 보자면, , 이므로 적용이 가능하다는 것을 쉽게 알 수 있습니다.
그러니~

#1. 한 번 미분, 두 번 미분

이젠 익숙해졌을텐데~.~

#2. 대입, 구하기

이제 최저차항을 찾아줍시다. 일때의 최저차항은 이므로 그것만 볼까요?

자 이제 해를 구했습니다. 다시 위로 올라가볼까요?라고 했으니, 을 얻을 수 있을 겁니다.

#3. 다시 대입,


요기에 을 넣어서 을 구해봅시다.

지금은 시그마의 아래에 붙어있는 의 범위가 크게 이상하지 않습니다. 보다 아래로 떨어지는 항이 없으니..

첫 번째 시그마는 부터 시작하는데 이 들어가면 그대로 이 됩니다. 그러니까..

일단 여기까지!

#4. 치환

두 번째 시그마를 라고 치환해주면 되겠죠? 첫 번째 시그마는 로 치환하구요~

#5. 점화식

네네 기억나죠?ㅋㅋㅋㅋ


요렇게!

#6. 원함수


차근차근 전개를 해보니,

요러한 series solution 을 얻었습니다. 만세~

그러면

를 꺼내봅시다!

#7. - 1. 식 정리

ㅋㅋ 넣고 미분 하겠습니다


대입!

자 그럼 잠시…
가 들어있는 항은
으로 날아갈 테니 다시 정리해보면

이렇게 됩니다. 시그마는 왼쪽, 아닌 것은 오른쪽에 모아보면

#8. -2. 구하기

좌변부터 정리를 해볼까요?
인 경우에 를 먼저 빼보면, 나머지는 전부 부터 시작합니다. 그러니 첫 번째 시그마는 , 두 번째 시그마는 로 치환해서 묶어줍시다.

그러니까 전개를 해보면,

이렇게 나오는 좌변을 얻습니다.

그러면 우변은…

이고

이니까,


이렇게 전개가 될겁니다. 그러면…

이제 우리가 할 일은 좌변과 우변을 비교해보는 것 뿐입니다.


이니…

여전히 완벽한 solution을 구할 수는 없습니다만….
는 그냥 상수라고 두어도 무관할 것입니다. 왜냐하면 우리는 을 구할 때 이미 이라고 생각하고 가장 간단한 해를 구했기 때문이죠….ㅋㅋ
이렇게 ‘가장 간단한’ 해를 구하겠다는 공학자들의 일념은 이라는 결론을 이끌어 냅니다. 저 위의 식은 그렇다면,

이렇게 해도 여전히 은 불만입니다. 물론 다양한 선택이 가능할테지만…,뜬금없이 이라는 단순화가 등장합니다 ㅋㅋㅋㅋㅋㅋㅋ 계속 강조하고 있는 거지만, ‘해를 찾으면 된다!’는 일념이랄까….

  • 일반적으로, 이 포함된 항의 계수는 0으로 잘 가정하지 않습니다. 자칫 잘못하다간 점화관계로 인해서 모든 항의 계수가 0이 되어 버릴 수 있을 테니까요. 그래서 으로 가정하면 정말 좋겠지만 그렇게 하지 않습니다 ㅠㅠ 이 사항에 대해서는 이 다음 예제를 통해서 조금 더 쉽게 이해해봅시다 ㅋㅋ

그러면
요런 결과를 얻습니다. 그러니

요런 해를 얻을 수 있을 겁니다.

#9. 최종 결과

ㅋㅋㅋㅋ 별로 보기싫은 애들이네요….ㅎㅎ

심화

저번시간에 의 성질에 대해 말했듯이, 이번에도 그런 성질이 존재합니다. 즉,

에서,

이고,

으로 정의됩니다. 여기서 은 뭐냐구요?

저번처럼, 위에서 푼 점화식을 을 그대로 포함한 식을 가져와보면 점화식은

요런게 될겁니다. 이니까,

뭐 이런 식을 얻을 수 있을텐데요, 을 대입해버리면

관건은 이 존재하느냐? 입니다. ㅋㅋㅋ 여기를찾아보니 있다고 나오는군요! -1의 값을 가진댑니다. 그러니 의 값을 가진다는 것.
하지만 정도의 값만 대입해도 좀 계산하기가 껄끄러워 질텐데요, 그렇습니다. 그냥 극한값이 나오는 을 아무거나 대입해서 찾으면 된다는 것인데, 우리가 초점을 맞추는 것은 그런 이 존재하느냐? 라는 것입니다. 만약 을 가지고 왔는데 분모에 같은 것들만 가득하다면 지워질 수가 없을거고, 그러니까 으로 항이 필요없는 를 구할 수 있다는 겁니다. 다음 예제에서 그것을 바로 보일텐데, 다음 예제는 그냥 으로 날아가버리는 경우이고, 그것도 함께 다루도록 하겠습니다 ㅋㅋㅋ

  • 기억할 것은, 의 정확한 값을 구하기 위한 식이라기 보다는 가 0인지 아닌지만 판단하는 정도의 식으로 알아둡시다.
  • 물론, 일일이 대입해서 풀어도 라는 결론은 나옵니다 ㅎㅎ

결론은, 은 ‘아무거나 넣어보고 극한값이 있는걸 가져와라!’라는 의미를 포함한다는거~~

정리

네. 역시나. ㅋㅋㅋㅋ 모두가 힘든 여정이었습니다. Frobenius method가 가진 매력이자 마력이라고나 할까요….
너무 포스팅이 길어지는 것을 방지 하기 위해서, 다음 포스팅에서 바로 뵙겠습니다~.~

댓글